반응형
master에서 아래 명령을 수행하면 설치된다.
kubectl apply -f https://raw.githubusercontent.com/kubernetes/dashboard/v2.5.1/aio/deploy/recommended.yaml
명령 수행 후 아래와 같이 나옴

생성된 웹서비스에 접근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가장 대표적인 방법을 쓰면 proxy를 쓰는 방법이다.
kubectl proxy

위와 같이 떳다면 아래와 같은 url로 접근하자. 여기서 ip는 master node의 ip이다.
http://127.0.0.1:8081/api/v1/namespaces/kubernetes-dashboard/services/https:kubernetes-dashboard:/proxy/
반응형
'인프라 관리 > ▷ Docker &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ynology NAS를 이용하여 NFS 기반 PV(Persistent Volume) 사용 준비 (0) | 2022.04.14 |
---|---|
Kubernetes를 위한 Desktop App - Lens (0) | 2022.04.14 |
Kubernetes GUI 도구 조사 (0) | 2022.04.08 |
Kubernetes Slave Node 구성하기 (0) | 2022.04.08 |
Synology VM에 Kubernetes 환경 구성하기 (0) | 2022.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