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kubernetes에서 cluster에 join을 할 경우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해야 합니다
kubeadm join <Kubernetes API Server:PORT> --token <2. Token 값> --discovery-token-ca-cert-hash sha256:<3. Hash 값>
예시)
kubeadm join 12.34.56.78:6443 --token xojh9n.xbz82ulgr2obqncf --discovery-token-ca-cert-hash sha256:991d9c483402c7109460b9c9aad65923d502075d522b1c7853bbc5f060ef1a60
하지만 토큰 값은 시간이 지나면 사라집니다. 이러한 토큰이 실제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명령은 아래와 같습니다.
kubeadm token list
만약 아무것도 안뜨면 다음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토큰을 생성합니다
kubeadm token create
해시값을 모를 경우 다음의 명령을 통해 확인 할 수 있습니다
openssl x509 -pubkey -in /etc/kubernetes/pki/ca.crt | openssl rsa -pubin -outform der 2>/dev/null | openssl dgst -sha256 -hex | sed 's/^.* //'
클러스터의 포트는 보통 6443이지만 만약 다를 경우 다음의 명령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kubectl cluster-info
반응형
'인프라 관리 > ▷ Docker &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D내부에서 외부로 나가는 통신 시 self signed certificate 이슈가 발생한다면? (인증서 설정이 없음에도) (0) | 2023.01.24 |
---|---|
helm 사용법 (0) | 2023.01.22 |
Kubernetes에 NFS Storage Class 선언하기 (nfs-subdir-external-provisioner) (0) | 2023.01.22 |
Kubernetes 설치 (0) | 2023.01.22 |
cri-o 설치 (1) | 2023.01.22 |